 |
유기농업기능사자격증 |
|
최근 환경오염과 함께 유기농업의 중요성 및 수요는 증대되고 있으며, 과거 저 부가가 치의 농작물에서 고 부가가치가 가능한 농작물로 전환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이러한 고부가가치 작물생산의 한 방안으로 최근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.
유기농업이란 화학비료, 유기합성농약(농약, 생장조절제, 제초제 등), 가축사료첨가 제 등 일체의 합성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과 자연광석 미생물 등 자연적인 자 재만을 사용하는 농법을 말한다. 이러한 유기농업은 단순히 자연보호 및 농가소득증대라 는 소극적 중요성을 떠나, WTO에 대응하여 자국농업을 보호하는 수단이 되며,아울러 국민의 보건복지 증진이라는 의미에서도 매우 중요하다. 이러한 유기농업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, 전문 유기농업인력을 육성 ·공급할 수 있는 자격신설이 필요하게 됨. |
|
|
 |
변천과정 |
|
2005년 유기농업기능사로 신설됨 |
|
|
 |
수행직무 |
|
유기농업 분야의 입지선정, 작목선정, 경영여건분석, 환경분석 등을 기획하고, 윤작체계 및 자재의 선정, 토양비옥도 및 병해충방지, 시비방법선정 사료확보 등 생산 , 축사 설계, 축사분뇨처리업무와 유기농산물 원료의 가공, 포장, 유통 직무 수행 |
|
|
 |
진로 및 전망 |
|
- 주로 유기농업 관련 단체, 유기농업 가공 회사, 유기농산물 유통회사
- 시·도·군 지자체의 환경농업 담당공무원, 유기농업 및 유기식품 연구기관의 연구원
- 국제유기식품 품질인증기관의 인증책임자 및 조사원(Inspector)
- 소비자단체, 환경보호단체, 사회단체 등 NGO의 직원 |
|
|
 |
종목별 검정현황 |
|
종목명 |
연도 |
필기 |
실기 |
응시 |
합격 |
합격률(%) |
응시 |
합격 |
합격률(%) |
유기농업기능사 |
2012 |
2,747 |
582 |
21.2% |
624 |
585 |
93.8% |
유기농업기능사 |
2011 |
1,138 |
507 |
44.6% |
483 |
418 |
86.5% |
유기농업기능사 |
2010 |
1,044 |
346 |
33.1% |
395 |
352 |
89.1% |
유기농업기능사 |
2009 |
1,001 |
350 |
35% |
384 |
251 |
65.4% |
유기농업기능사 |
2008 |
1,035 |
514 |
49.7% |
571 |
394 |
69% |
유기농업기능사 |
2007 |
1,090 |
541 |
49.6% |
591 |
557 |
94.2% |
유기농업기능사 |
2006 |
1,487 |
669 |
45% |
839 |
576 |
68.7% |
유기농업기능사 |
2005 |
4,201 |
1,365 |
32.5% |
1,112 |
598 |
53.8% |
소 계 |
13,743 |
4,874 |
35.5% |
4,999 |
3,731 |
74.6% |
|
|